분류 전체보기29 301 vs 302 redirect 요청에대한 응답으로 redirect를 시켜야 할 경우 301 혹은 302 status code를 사용하게 된다. 기존에 둘의 차이가 단지 301은 영구적 이동, 302는 임시적 이동 이라는 개념으로만 알고 있었고 실제로 redirect를 응답으로 주어야 하는 경우에 어떤 것을 주어야 할지 감이오지 않아서 정리하게 되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리다이렉트 되는 것은 동일한데 둘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궁금했다. 10.3.2 301 Moved Permanently The requested resource has been assigned a new permanent URI and any future references to this resource SHOULD use one of the returned URIs. .. 2022. 2. 19. Jpa 영속성전이(Cascade) 및 고아 객체 먼저 기존에 서버에서 외래키 관련해서 에러가 났었다. 대략적인 내용은, 외래키로 묶여있는 두 테이블에서 하나의 엔티티를 삭제할 때, 다른 엔티티가 참조하는 값이 없어져서 나오는 오류였는데 (참조무결성) 예전에 정처기공부할때 Cascade 제약조건이 생각나서, 이전에 깃헙에서 여러 코드를 볼때, 연관관계에 cascade 를 옵션으로 달아주던게 생각나서 공부를 해봤다. 내용은 인프런 강의(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을 듣고 정리해봤다. 특정 엔티티를 영속 상태로 만들 때 연관된 엔티티도 같이 영속 상태로 만들고 싶을 때 (예를들어 One to Many 관계에서 One 을 저장 할 때, Many들도 같이 저장하고 싶을 때 사용) 예를들어 Parent, Child 엔티티가 있고, 둘의 관계가.. 2021. 9. 26. X-Forwarded_FOR(XFF) 우선, 로드벨런서가 앞단에 붙은 상태에서, 스프링 부트 서버에서, 사용자의 ip를 기록하고 싶었고, 이를 로그를 통해서 나타내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간단하게 Logback에서 제공하는 MDC를 이용해서, 이 안에 사용자가 보내는 Request에서 getRemoteAddress()를 호출해서 ip를 꺼내서 넣으면 될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로그를 남겨보니, 계속 같은 ip주소를 리턴을 했습니다. 로그를 남길 때, 다른 헤더들도 같이 남기게 했었는데, 요청하는 곳의 아이피는 X-Forwarded-For 이라는 해더에 담겨져서 오는 것 같아서 해당 내용을 찾아보았습니다. https://88240.tistory.com/526 X-Forwarded-For(XFF) 란? XFF는 HTTP Header 중 하나로 .. 2021. 9. 13. Api key 적용하기 배경 방문 예약 시스템에서는 방문 예약시 서버에서 URL Shortener api를 사용해서, 단축 Url을 만듭니다. 하지만, 아무런 제약이 없어서 누구나 호출해서 사용 할 수 있었습니다. 만약 악의적인 사용자가 있다면 우리서버에서 돌아가고 있는, 단축 URL 서비스를 마음대로 이용 할 수 있는 상황이었으며, 이 API를 우리 어플리케이션에서만 혹은 우리가 지정한 사용자만 호출 할 수 있게 하고 싶었습니다. - 우리 어플리케이션 외부(Postman)에서도 api가 정상적으로 호출되는 모습 API 인증방식 api 호출을 인가하는 방식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참고) 대표적으로 HTTP Basic Authentication OAuth 2.0 (Token in HTTP Header). API Keys 가 .. 2021. 8. 22. 이전 1 ··· 4 5 6 7 8 다음